현대인들은 과도한 업무로 인한 피로누적, 업무에 대한 중압감, 다른 사람과의 갈등, 잦은 야근, 무리한 성과창출 요구, 불규칙한 식사습관, 수면부족, 치열한 경쟁, 항상 친절해야 하는 서비스 종사자 등 누구나 스트레스에 장기간 노출될 수 있다. 스트레스는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모든 내외적 한계를 침해하는 자극들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자극이 너무 강하거나 장기간 지속된다면 생체가 이를 견딜 수 없게 되어서 질병을 일으킨다.
스트레스를 그때그때 잘 해결하지 못하고 받게 되면 간의 기운이 울체되는데 한의학에서는 이를 간기울결(肝氣鬱結)이라 한다. 이 상태가 계속되면 열을 발생시켜 상열감(上熱感)의 병리변화가 형성된다.
간기울결이 있을 때 나타나는 증상은 화를 잘 내고 식욕부진, 어지럼증, 소화불량, 복통, 설사, 생리불순, 생리통 등의 증상이 있다. 스트레스가 장기간 지속돼 상열감이 나타나면 얼굴로 열이 달아오르고 땀이 많이 나며 입이 마르고 두통, 눈의 충혈, 어지럼증, 두피 가려움증, 두피가 빨갛게 되는 증상, 정수리 부위의 뜨거운 느낌, 탈모 등이 나타난다. 스트레스를 받다보면 심장에도 영향을 미쳐 가슴이 답답하고 두근거리며, 불안초조하고, 잘 놀라며 불면증이 나타나고, 깊이 잠들지 못해 자주 깨거나, 악몽을 자주 꾸게 된다.
스트레스성 탈모를 치료하는 경혈은 전중, 백회, 내관, 신문, 중완, 천추, 합곡, 인당, 족삼리 등이 있다.
◇전중(膻中) : 전중혈은 임맥의 17번째 경혈로 양쪽 유두의 정중앙에 위치한다. 전중혈은 기를 조절하고 기가 거꾸로 올라가는 것을 편안하게 하는 자리로 가슴에 맺힌 기를 풀어줌으로써 가슴을 편안하게 하는 경혈이다. 스트레스가 심한 사람의 경우 이 곳을 약하게 누르기만 하여도 심한 통증을 호소한다. 전중혈은 스트레스성 탈모 이외에 흉막염, 유방통, 늑간신경통, 구토, 기침, 식도경련 등을 치료한다.
◇백회(百會) : 백회는 독맥의 20번째 경혈로 양귀 끝을 직상으로 연결하는 선과 머리를 지나는 정중앙선이 교차하는 정수리 중앙부위를 말한다. 백회혈의 효능은 열을 떨어뜨리고 정신을 맑게 하며 양기를 끌어올린다. 백회혈은 스트레스성 탈모, 정수리탈모 이외에 신경성두통,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상, 정신이 멍한 증상, 이명, 코막힘, 치질, 변비, 중풍, 건망증 등을 치료한다.
◇내관(內關) : 내관혈은 수궐음심포경의 6번째 경혈로 손목관절 손바닥 쪽 횡문의 중앙과 팔꿈치 횡문의 중앙에서 손목관절에서 팔꿈치 방향으로 1/5되는 부위에 위치한다. 내관혈은 마음을 평안하게 하며 진정(鎭靜)시키는 효능이 있어 스트레스성 탈모에 효과적이다. 내관혈은 기를 다스리며 위를 건강하게 하고 진통효능이 있어 가슴 두근거림, 위염, 장염, 구역감, 두통, 고혈압, 불면증, 소화불량 등을 치료한다.
◇신문(神門) : 신문혈은 수소음심경의 7번째 경혈로 손목관절 손바닥쪽 5번째 손가락 쪽으로 위치한다. 신문혈은 정신을 편안하게 하며, 심열(心熱)을 떨어뜨리고, 기가 위로 오르는 것을 조절하는 효능이 있다. 스트레스성 탈모, 신경쇠약, 불면증,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상, 건망증, 손목관절통 등을 치료한다.
◇중완(中脘) : 중완혈은 임맥(任脈)의 12번째 경혈로 배꼽에서 위로 4촌에 위치한다. 중완혈은 위와 가까이 위치하며 위기(胃氣)가 모여드는 경혈이다. 중완혈은 위기(胃氣)를 건강하게 하며 비위를 다스리고 기의 승강(升降)을 조절한다. 스트레스를 장기간 받으면 소화장애를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스트레스성 탈모, M자형 탈모와 소화불량으로 인한 탈모,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상, 불면증, 만성위염, 위궤양, 위경련, 소화불량, 위하수, 위통(胃痛), 구토, 설사, 변비, 두통 등을 치료한다.
◇천추(天樞) : 천추혈은 족양명위경의 25번째 경혈로 배꼽에서 좌우로 2촌에 위치한다. 천추혈은 대장의 기(氣)가 모여드는 경혈이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설사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천추혈은 대장을 건강하게 하는 효능이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천추혈을 자극하면 된다. 천추혈은 또한 설사, 변비, 장염, 위염, 복통, 장명(腸鳴) 등을 치료한다.
◇합곡(合谷) : 수양명대장경의 4번째 경혈로 제1중수골(中手骨)과 제2중수골의 손등쪽 기골간(岐骨間)에 있다. 합곡혈은 정신을 편안하게 하고, 열을 내리며, 위장(胃腸)을 건강하게 하며, 경락을 통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합곡혈은 임상에 널리 응용되며 일체 두면제증(頭面諸症)에 응용된다. 스트레스성 탈모, 지루성탈모, 정신병, 신경쇠약, 편두통, 비염, 소화불량 등을 치료한다.
◇인당(印堂) : 인당혈은 경외기혈(經外奇穴)이며 양쪽 눈썹의 정중앙에 위치한다. 인당혈은 정신을 평안하게 하는 효능이 있어 스트레스성 탈모와 불면증을 치료한다. 또한 두통, 어지러움증, 비염, 축농증, 실신(失神) 등을 치료한다.
◇족삼리(足三里) : 족삼리혈은 족양명위경의 36번째 경혈로 슬개골 외하연(外下緣)에서 아래로 3촌에 위치한다. 족삼리혈은 인체의 저항력을 높이며, 전신강장(全身强壯)의 효능이 있으며, 기를 아래로 내리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스트레스성 탈모에 응용한다. 족삼리혈은 또한 불면증, 정신쇠약, 위염, 장염, 복통, 식욕부진, 소화불량, 변비, 편두통, 어지러움증 등을 치료한다.
우리 인생은 문제의 연속이기 때문에 항상 스트레스와 함께 살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스트레스를 이겨낼 수 있도록 마음을 담대하고 기쁘고 편안하게 갖고, 충분한 수면과 규칙적인 식사, 규칙적인 운동, 용서하기, 감사하기, 많이 웃기, 스트레스를 치료하는 경혈 마사지, 취미생활, 중요한일 먼저하기, 희망적인 노래 부르기, 사랑하는 가족의 포옹, 목욕, 여행 등을 통하여 스트레스를 빨리 해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