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루성탈모로 필자를 찾은 30대 남성 L씨는 평소 더위를 많이 타며, 머리, 등, 겨드랑이 부위로 땀이 많이 나고, 얼굴부위로 상열감이 심하였다. 치킨, 삼겹살, 곱창 등 기름진 음식을 즐겨하고, 술은 1주일에 3~4회, 소주 1~2병을 마셨다. 소화불량이 있어 트림이 자주 나며, 술 마신 다음 날은 속쓰림 증상이 있었다. 술과 찬물을 즐겨 마시니 대변은 자주 무르게 보곤 하였다. 직장에서 컴퓨터를 많이 하고, 사람을 상대하면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다보니 뒷목이 뻣뻣하고 어깨가 무거웠다.
머리에 기름기가 많고, 정수리 백회혈(百會穴)부위로 뾰루지가 심하고, 열감이 있었다. 두피는 가렵고, 빨갛고, 비듬이 심하였다. 최근에는 스트레스가 심하여서 술을 더 자주 마시다 보니 머리 감을 때 100개 이상의 모발이 빠지고 평소에도 머리를 만질 때 빠지게 되었다.
지루성탈모란 피지선에 문제가 생겨 피지의 분비량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고, 증가한 피지가 두피 내 모공을 막아 영양공급 및 순환기능이 저하돼 나타나는 탈모증상을 말한다. 두피에 대개 열감이 있고 붉은 기가 있으며 염증을 보이고, 기름기가 많으며 비듬이나 각질이 동반되면서 따갑거나 가려움증이 발생하는 지루성두피염이 원인이 돼 나타난다. 심한 경우 노화된 각질과 피지 노폐물이 두피 전체를 덮게 되며 심한 통증과 악취를 동반할 수 있다. 정수리와 앞머리 부위에 뾰루지가 많고 뒷목이 뻐근한 경우 뒷머리 부위에 뾰루지가 많다.
약침요법은 순수 한약재 등에서 추출, 정제, 희석, 혼합 또는 융합한 약액을 침을 놓는 자리(경혈, 경대, 경근, 관절, 각종 강내, 혈맥 등)에 자입하거나 투입 또는 매몰하는 한방 의료행위로써 치료 효과를 보다 극대화시키기 위한 치료법을 말한다.
한의학에서는 최근 탈모치료에 약침요법을 많이 시술하고 있다. 약침요법은 혈액순환이 잘 되게 하며, 경락의 기를 통하게 한다.
지루성탈모에 주로 사용하는 약침은 소염(消炎)이다. 소염은 복합 한약재를 탕전하여 탕액을 분리하여 증류추출하는 증류약침이다.
소염의 처방구성은 포공영, 금은화, 연교, 생지황, 황련, 황금, 황백, 치자 등의 한약재로 구성된다. 열독을 해독하고, 소염작용이 있어 비듬, 염증, 기름기, 가려움증, 발적, 열감을 치료하기 때문에 붉은 두피가 하얗게 되고 시원한 느낌이 나며 지루성탈모를 근본적으로 치료한다.
포공영(蒲公英)은 국화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민들레의 전초(全草)다. 성질은 차가우며 맛은 쓰고 달다. 포공영은 성질이 차갑고 맛이 쓰고 달아서 열독(熱毒)을 해독(解毒)하고, 옹종(癰腫)을 치료해 지루성탈모, 여드름, 목적(目赤) 등을 치료한다.
금은화(金銀花)는 인동과에 속한 인동의 꽃봉오리를 건조한 것이다. 성질은 차가우며 맛은 달다. 금은화는 성질이 차가워서 열을 떨어뜨리고 해독(解毒)시키는 효능이 있어 지루성탈모의 열독창옹(熱毒瘡癰)을 치료한다.
연교는 물푸레나무과의 개나리의 과실을 건조한 것이다. 연교의 성질은 약간 차며 맛은 쓰다. 연교의 쓴맛은 사화(瀉火)하고, 차가운 성질은 열을 떨어뜨리고 소종산결(消腫散結)시키는 효능이 있어 지루성피부염의 열감, 뾰루지, 기름기, 가려움증 등을 치료한다.
생지황은 현삼과에 속한 지황의 신선한 뿌리이다. 성질은 차가우며, 맛은 단맛, 쓴맛을 지닌다. 청열생진(淸熱生津)하는 효능이 있어 열풍상음(熱風傷陰), 발반발진(發斑發疹) 등을 치료한다.
황련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한 황련의 근경(根莖)을 건조한 것이다. 성질은 차가우며 맛은 쓰다. 사화해독(瀉火解毒)하는 효능이 있어 옹종정창(癰腫疔瘡), 습창(濕瘡) 등을 치료한다.
황금(黃芩)은 꿀풀과에 속한 황금의 뿌리를 건조한 것이다. 성질은 차가우며 맛은 쓰다. 사실화(瀉實火), 제습열(除濕熱)의 효능이 있어 옹종정창(癰腫疔瘡), 장열번갈(壯熱煩渴) 등을 치료한다.
황백은 운향과에 속한 황벽나무의 수피(樹皮)를 건조한 것이다. 성질은 차가우며 맛은 쓰다. 사화해독(瀉火解毒)하는 효능이 있어 창양종독(瘡瘍腫毒), 습진소양(濕疹瘙痒) 등을 치료한다.
치자는 꼭두서니과에 속한 치자나무의 과실을 건조한 것이다. 성질은 차고 맛은 쓰다. 청열사화(淸熱瀉火)하는 효능이 있어 열독창양(熱毒瘡瘍)을 치료한다.
약침은 한약재를 사용하여 침을 놓는 경혈 부위에 소량 주입함으로써 침의 자극효과와 한약의 지속적인 치료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다. 소염약침의 경우 지루성탈모가 있는 부위에 직접 주입하기 때문에 효과가 빠르고, 열을 떨어뜨리고 소염하는 작용이 있어 비듬, 염증, 기름기, 가려움증, 발적, 열감을 치료하기 때문에 붉은 두피가 하얗게 되고 뜨거운 두피가 시원한 느낌이 난다. 수개월, 수년된 지루성탈모에도 효과가 있으므로 만성적인 지루성탈모와 가려움증에 고생하는 분들은 소염약침 치료를 적극적으로 권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