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3학년인 A군은 1년 전부터 어떤 고등학교와 어떤 대학교를 진학해야 하는가하는 진로문제로 스트레스를 받았다. 또한 학업으로 인하여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다. 학원 때문에 1주일에 2~3회 정도 저녁식사를 거를 때가 많았고, 아침 식사도 거를 때가 많고 편식을 하였다.
책상에 앉아서 공부하는 시간이 많다보니 어깨가 결리고 뻐근하며 뒷목이 항상 뻣뻣하며 머리가 무거웠다. 밤늦게 까지 공부하다보니 수면이 부족하였고 중간고사 기간과 기말고사 기간은 잠자는 시간이 더욱 부족하다보니 피로가 심해지게 되었다. 식욕이 부진하여 하루에 두끼 식사를 하고 소화불량이 있어 속이 더부룩하고 체할 때가 가끔 있었다.
학업과 진로문제로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정수리 부위가 가렵고 모발이 가늘어지더니 머리 감을 때와 말릴 때, 그리고 평소에 머리를 만질 때도 탈모양이 증가하였다. 어느날 부턴가 친구들이 정수리부위 탈모가 있다고 말할 때 마음에 상처가 되고 벌써 대머리가 되지 않을 까 신경이 쓰이게 되었다.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기간에는 수면도 더욱 부족해지고 목이 더욱 뻣뻣해지면서 몸이 더욱 피로하고 탈모양이 더 늘어났다. 1년이 지나서는 정수리부터 앞머리 모발이 가늘어지고 두피가 많이 비치게 되어 탈모가 스트레스가 되었다.
중고등학생과 수험생 등의 청소년에게서 발병되는 탈모증을 청소년탈모라고 부른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이 2009년 진료비 자료를 분석한 결과 탈모환자 18만 1707명 가운데 20~30대가 48.4%(8만8004명)에 달했다. 20대 미만 청소년도 2만 5067명에 달했다.
청소년탈모가 일어나는 가장 큰 원인은 학업등으로 인한 스트레스라고 볼 수 있다. 이외에도 장시간 공부하여 발생하는 어깨결림, 수면부족, 불규칙한 식사습관과 편식으로 인한 소화불량 등이 청소년탈모의 원인이다.
과도한 스트레스는 피를 탁하게 만들고 신장의 기능을 약하게 하며 기가 울체되고 그 상태가 계속되면 열을 발생하여 열이 두피로 올라 탈모의 원인이 된다. 스트레스를 받을 때는 음악감상이나 운동 등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며 스트레스를 푼다. 넘쳐나는 공부 분량과 과제로 인하여 스트레스를 받는다면 해야 할 일들의 우선순위를 세워보는 것이 좋다. 스트레스가 심하면 스트레스를 극복하는 효능이 있는 보혈안신탕, 분심기음, 천왕보심단 등의 한약을 한의사의 처방을 받아 복용하면 도움이 된다. 스트레스에 도움이 되는 경혈은 전중혈(膻中穴 양쪽 유두의 정중앙)을 마사지해주면 도움이 된다. 전중혈은 가슴에 맺힌 기를 풀어줌으로써 가슴을 편안하게 하는 경혈이다.
장시간 공부하여 뒷목이 뻣뻣해지고 어깨가 결리면 탈모의 원인이 된다. 머리나 몸통으로 가는 모든 혈관과 신경은 목을 통과하여 지나간다. 따라서 뒷목과 어깨근육이 뭉치면 머리로 올라가는 혈관들이 압박을 받게 돼 두피, 안면으로 혈액순환이 장애를 받아 탈모의 원인이 된다. 뒷목이 뻣뻣하면 1시간 마다 휴식을 취하고 맨손체조를 한다. 어깨결림에 효과적인 한약은 강활, 방풍, 천궁 등이 있다. 어깨결림에 효과적인 경혈은 풍지혈(風池穴 침골 아래 뒷목 근육 바깥 쪽 들어간 부위)이다. 풍지혈은 기혈조절, 머리를 맑게 함, 열을 떨어뜨림, 근육이완 등의 효능이 있어 탈모, 두통, 항강증 등을 치료한다.
청소년들은 방과후에도 학원과 야간자습, 과외 등으로 인해 밤 늦게 귀가하여 수면이 부족하며, 학업으로 인하여 스트레스를 받으면 잠을 이루지 못하고 근심 걱정하여 혈액을 소모하고 몸이 피로해져 탈모의 원인이 된다. 하루 6~7시간 내외의 충분한 수면시간을 갖고 늦어도 12시 이전에 잠자리에 들도록 한다. 스트레스로 인하여 불면증이 있을 때 치료하는 한약은 산조인이다. 산조인은 심장을 건강하게 하며 정신을 편안하게 하며 최면효과가 있어 불면증, 다몽(多夢), 신경성 소화불량 등을 치료한다. 불면증을 치료하는 경혈은 내관혈(內關穴)이다. 내관혈은 심장과 정신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이 있어 불면증과 가슴 두근거리는 증상을 치료한다.
스트레스로 인하여 소화불량이 나타나고 식욕부진하여 식사량이 감소되면 생성되는 혈액량이 부족해지므로 탈모의 원인이 된다. 규칙적으로 균형잡힌 음식을 섭취하며 과식, 폭식, 편식하지 않는다. 소화불량을 치료하는 한약은 산사, 신곡, 창출이 있다. 소화불량을 치료하는 경혈은 합곡혈이다. 합곡혈은 경락을 통하게 하며 소화를 돕는 효능이 있어 소화불량, 설사, 구토 등을 치료한다.
A군의 경우 하수오, 복분자, 상심자, 한련초 등 탈모를 치료하고 모발에 영양을 공급하는 한약과 스트레스, 어깨결림, 소화불량을 치료하는 한약을 복용하였다. 아울러 스트레스, 어깨결림, 소화불량 등을 치료하는 침시술도 병행하였다. 두피에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모발에 영양을 공급하는 모발약침을 주 2회씩 시술하였는데, 10회 시술하자 새로운 모발이 올라오고 모발이 굵어지면서 탈모양이 감소하였다. 이후 추가치료로 앞머리와 정수리부위 모발이 채워지고 굵어지면서 탈모에 대한 스트레스가 없어지게 되었다.
입시에 대한 무거운 압박감, 학업에 대한 지속적인 스트레스, 친구관계 안에서 경쟁심 등 이러한 정신적 스트레스는 탈모를 유발하고 탈모를 악화시킨다.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기초 체력을 높이고 땀을 흘림으로써 체내 노폐물 배출과 전신의 기혈 순환에 활력을 더해 주는 것이다. 주말에는 공원을 산책하면서 햇빛을 쐬어 마음을 밝게 하는 것도 좋다. 그리고 미래의 즐거움을 생각하는 것이다. 학업이 힘든 과정이지만 장차 내가 훌륭하고 가치있는 삶을 위한 준비과정이라고 생각한다면 인내할 수 있는 힘이 생긴다.
청소년에게 탈모가 나타나면 부모님의 관심이 중요하다. 부모님과 함께 자신의 스트레스를 나누고 위로와 격려를 받다보면 스트레스가 경감된다. 아이에게 꿈을 심어주고 아이를 믿어주며 사소한 일에도 격려해주며 응원해준다. 그리고 공부하느라 지친 아이의 어깨를 주물러주고 두피를 시원하게 마사지해주면 부모님의 사랑으로 탈모에서 훨씬 빨리 해방될 수 있을 것이다. 탈모가 오래 되었거나 범위가 넓어지면 탈모전문 한의원을 찾아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