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강대희 원장(구리시 약침한의원)
[쿠키 건강칼럼] 봄을 대표하는 꽃은 개나리, 진달래, 철쭉, 목련 등이다. 그 중에 개나리는 생장속도가 빠르고 어디서나 잘 자라며 추위를 잘 견딘다. 개나리의 꽃말은 희망, 깊은 정, 조춘의 감격, 달성이다.
연교는 물푸레나무과의 개나리의 과실을 건조한 것으로 가을에 과실이 익기 시작할 때 또는 완전히 익었을 때 채취해 증기로 쪄서 말린 것이다. 이 약은 장난형(長卵形) 또는 난형(卵形)으로 약간 납작하고 길이 1.5~2.5㎝, 지름 0.5~1.3㎝다. 표면에는 불규칙한 세로주름과 여러 개의 볼록한 작은 반점이 있고, 양면에는 각 한 개의 뚜렷한 세로 홈이 있다. 약리작용으로 항염증작용, 항균작용, 혈압강하, 지혈작용, 간치료작용, 해열, 진토, 이뇨작용 등이 있다.
연교의 성질은 약간 차며 맛은 쓰다. 심, 폐, 담의 경락에 작용한다. 연교의 쓴맛은 사화(瀉火)하고, 차가운 성질은 열을 떨어뜨리고 성질이 경청(輕淸)해 인체의 상부에 작용하며, 소종산결(消腫散結)시키는 효능이 있어 지루성피부염의 열감, 뾰루지, 기름기, 가려움증 등을 치료한다. 또한 옹저(癰疽), 나력(??), 단독(丹毒), 고열번갈(高熱煩渴) 등을 치료한다. 이뇨작용으로 오림(五淋), 소변불통(小便不通)의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
동의보감에는 나력(??), 옹종(癰腫), 악창(惡瘡), 영류(?瘤), 결열(結熱), 고독(蠱毒) 등을 치료하며, 배농(排膿)해 창절(瘡癤)을 치료하고, 지통하며 오림(五淋), 소변불통, 심가객열(心家客熱)을 치료한다고 기록돼 있다.
지루성피부염을 치료하는 데 금은화, 포공영, 목단피, 박하를 배합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비위가 허약한 사람과 옹종(癰腫)이 이미 궤(潰)한 농청색담자(膿淸色淡者)는 한의사와 상담 후 복용한다. 연교를 물 한잔에 2~3알 정도의 분량으로 차처럼 달여서 수시로 마셔주면 지루성 탈모를 치료하는 데 도움을 준다.
임상을 하면서 지루성탈모로 고생하는 분들은 특히 음식과 관련이 많다. 지루성탈모에 해로운 음식은 과음, 매운 음식(고추, 후추, 겨자나 찜종류, 탕종류 등), 기름진 음식(삼겹살, 치킨, 피자, 케이크, 도너츠, 짜장면, 튀김 등), 인스턴트 식품(햄버거, 햄, 라면 등) 등이 있다. 모발 건강에 좋은 음식은 검은콩, 검은깨, 하수오, 복분자, 오디, 호도, 구기자, 솔잎, 잣, 달걀, 미역 등이 있다.